알림
알림
알림메세지

eBOOK자유민주주의 정치철학, 존 로크 장자크 루소 알렉시스 드 토크빌

자유민주주의 정치철학, 존 로크 장자크 루소 알렉시스 드 토크빌
  • 저자탁양현
  • 출판사e퍼플
  • 출판년2018-10-23
  • 공급사(주)북큐브네트웍스 (2018-11-19)
  • 지원단말기PC/스마트기기
  • 듣기기능 TTS 지원(모바일에서만 이용 가능)
신고하기
신고하기
신고하기 정보 입력
  • 대출

    0/1
  • 예약

    0
  • 누적대출

    0
  • 추천

    0
  • ‘自由民主主義의 資本’과 ‘人民民主主義의 Kitsch’







    周知하는 바와 같이, 21세기 대한민국의 체제원리는, 응당 自由民主主義다. 자유민주주의는 근대 서양문화의 정치철학적 산물이다. 대한민국은 여러 이유에서, 자유민주주의를 통치 이데올로기로 삼았다. 과연 그럴 만한 의미와 가치가 있는 것일까? 그렇다. 현대의 자유민주주의는 人類史에 등장하는 어떤 체제원리보다도, 현실세계의 인간존재들을 가장 인간답도록 보장해 주기 때문이다.

    역사 안에는 너무도 다양한 통치철학들이 존재한다. 그 이론만으로 치자면, 자유민주주의를 능가하는 철학사상은 적지 않다. 동양의 정치철학의 경우에도, 孔孟이나 老莊의 帝王學的 통치철학은, 만약 그 이론대로만 실현될 수 있다면, 자유민주주의의 한계를 쉬이 극복할 수 있는 위대한 이론이다. 諸子百家의 다양한 통치철학은 물론이며, 近代에 世界史를 搖動시켰던 맑스의 통치철학은 또 어떠한가.

    맑스의 공산주의 통치철학은 실로 아름다운 정치적 이상향이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이상주의적 상상일 따름임이, 역사로써 검증되었다. 朝鮮王朝를 주도했던 孔孟 전통의 朱子學的 통치철학 역시 그러했다. 공산주의 통치철학은 이상주의로써는 결코 현실세계를 나아지게 할 수 없음을 증명했고, 주자학적 통치철학은 그것보다 나은 통치철학이 작동하기까지 꼼짝없이 감내해야만 하는 不條理의 엄청난 고통을 증명했다.

    물론 현대의 자유민주주의라고 해서 萬病通治藥일 리는 전혀 없다. 현재의 자유민주주의도 많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인류사를 고찰할 때, 현대의 자유민주주의 만큼 이상주의와 현실주의가 조화를 이루는 정치철학은 不在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장 자크 루소’의 ‘에밀’은, 근대 이후 널리 회자되는 대표적인 청소년 교육론이다. ‘에밀’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청소년의 이름이다. 여기에서 ‘루소’는 지속적으로 自然主義 교육론을 주장한다. 어린이에게는 ‘자연적 완전함’이 내재하므로, 그것이 발현되도록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교육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강압적인 훈육을 부정하며 거부한다.

    그런데 재미나게도 ‘루소’는, 자기의 자녀 5명을 죄다 고아원에 보내버린 냉혹한 아버지이다. 혈연마저도 자기의 생존을 위해 배척해버린 것이다. 그런 사람이 청소년 교육론을 집필했으며, 自然主義的 교육론을 주장한다는 것은, 실로 irony다. 그러나 자기의 罪過에 대한 自己處罰이었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다소 납득이 되기도 한다.



    여하튼, ‘루소’는 이데올로기적인 강압적 교육을 부정한다. 그것이 지닌 폭력성 때문이다. 예컨대, 한국인들은 훈육의 폭력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장면으로서, 북한의 ‘어린이 집단 매스게임’을 연상할 수 있다. 一絲不亂하게 기계처럼 작동하는 어린이들의 모습을 보면, 도대체 그러한 수준에 이르기까지 얼마나 가혹한 강압적 훈육을 받았을지, 당최 상상이 되질 않는다.

    ‘루소’의 견해를 좇는다면, 북한의 ‘어린이 집단 매스게임’이야말로, 强壓主義 교육의 典型이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이를 비판하는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이 人權主義 차원에서 지극히 타당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애당초 ‘루소의 에밀’이, 자기 자식을 내버린 原罪를 지니고 있음 또한 묵과할 수는 없다.

    이러한 원죄는, 자유민주주의의 관점에서 援用한다면, 자본주의를 작동시켜야만 하는 不得已한 不條理와 닮아 있다. 現在的으로 자본주의는 분명 원죄처럼, 市場이라는 것에 본래 惡魔性의 원리가 내재되어 있으며, 그것에 의하여 작동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그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항상 견제와 균형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

    반면에 북한의 主體思想 교육론은, 자기 어린이들을 집단적 강제 속으로 내던져, 예컨대 ‘어린이 집단 매스게임’처럼 한치의 어긋남도 없는 이데올로기 작품을 제작해낸다. 나아가 그러한 원리가 작동하여 표현되는 體制理論이나 國家共同體라는 작품 역시 그러하다. 그러한 작품들에서 어떤 아름다움을 발견한다면, 그것은 일종의 Kitsch라고 할 것이다. ‘키치’는 一見 ‘醜의 美學’이다.



    辭典에서 ‘키치(Kitsch)’를 찾아보면, ‘저속한 작품’ 혹은 ‘공예품’을 뜻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형용사 ‘키치的’은 ‘천박한, 야한, 대중취미의’ 등의 의미를 갖는다고 되어 있다.

    一言以蔽之하여 키치란, 겉으로 봐서는 예술품인 듯하지만, 그 속내를 들여다보면 천박한 싸구려 상품으로서, 당최 예술품일 수 없는 것이 바로 키치인 것이다. 그런데 필자의 무수한 저작들 역시, 이러한 키치의 분별로부터 당최 자유로울 수 없음이 필자에게 깊은 아픔과 설움으로 다가서는 건, 또 무슨 까닭일까.

    여하튼 키치라는 용어는, 그것이 지칭하는 개념처럼 매우 근대적인 것이다. 키치는, 1860년대에서 1870년대 사이에, 뮌헨의 화가와 ?商의 俗語로 사용되었으며, 하찮은 예술품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1910년대에 이르면, 느슨하고 널리 유통되는 호칭으로서, 국제적인 용어가 된다.



    키치의 발생 배경은, 美學的으로는 낭만주의 예술에서, 사회적 배경으로는, 19세기 중반 부르주아 사회의 형성과 예술의 상업화 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19세기 말에는, 유럽 전역이 이미 급속한 산업화의 길을 걷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대중문화의 파급 속도도 빨라, 중산층도 그림과 같은 예술품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그에 따라 미술품이나 그림을 사들이려는 욕구가 강해졌다. 키치는 바로 이러한 중산층의 문화욕구를 만족시키는, 그럴 듯한 그림을 비꼬는 의미로 사용하던 개념이다.

    이러한 상황은, 共産主義나 人民民主主義가 중산층 대중문화에 習合되어가는 상황과 유사성을 갖는다. 비록 귀족적 ‘금수저’는 아니지만, 적어도 어느 정도의 知的 역량을 지닌 文化大衆에게, ‘도덕적 인권주의’나 ‘이상적 평등주의’ 등은 분명 매력 있으며, 구매욕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20세기 후반에 들어와, 美的 논의의 대상으로서 문화적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현대에 이르면서, 고급문화나 고급예술과는 별개로, 대중 속에 뿌리박은 하나의 예술 장르로까지 개념이 확대되어, 현대의 대중문화와 소비문화 시대의 흐름을 형성하는 척도를 제공하기도 한다.

    본래 키치가 가리키는 구체적 대상은, 古美術品을 모방한 가짜 복제품이나 유사품, 통속미술작품 등이다. 미켈란젤로의 ‘모세’와 같은 걸작품을, 석고나 플라스틱으로 복사한 ‘가정용품’에서, 잡지 표지를 장식하는 저급한 일러스트레이션에 이르기까지, 粗惡한 감각으로 만들어진 미술품과, 저속한 대중적 취향의 대중문화들을 지칭한다.

    이러한 상황은, ‘맑스’의 공산주의 작품을 모방하여 제작된, ‘스탈린’이나 ‘마오쩌둥’의 작품을 연상케 한다. 본래의 共産主義는 실로 아름다운 정치사상적 예술작품임이 자명하다. 그러나 그것이 현실세계에서 실제로 작품화되었을 때는, 고작 ‘러시아’나 ‘중국’의 社會主義體制쯤의 작품밖에는 제작되지 않기 때문이다.

    나아가 북한의 ‘주체사상’에 의한 ‘조선인민민주주의공화국’이란 작품은 더욱 그러하다. 분명 그 原作으로서 원용된, ‘맑스의 공산주의’나 ‘조선왕조의 성리학’에 의한 정치철학적 작품들은, 나름대로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 것이었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북한 땅에서 실현되었을 때는, 결국 ‘스탈린’이나 ‘마오쩌둥’의 작품들처럼, 천박한 키치가 되어버린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그것이 키치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키치도 분명 類似예술작품이기 때문이며, 키치가 지니는 기괴한 매혹은, 바로 이 지점에서 작동하는 탓이다.



    키치에 대한 평가는, 산업사회의 소비문화를 수용하는 대중들의 삶의 태도를 표현하는, 특정 철학적 미학적 범주라는 광범위한 영역에까지 개념이 확대되면서, 키치가 가진 사회적 기능과 성격에 주목하게 되었다.

    키치는, 본래의 기능을 거부하는 특성, 충동이나 수집의 특성, 값이 싸야 하며 축적의 요소를 가지는 특성, 낭만적 요소를 포함하며 상투성과 쾌적함의 요소를 가지는 특성, 여러 요소들을 조금씩 가지고 있는 중층성의 특성 등을 가진다.

    키치가 가진 이러한 사용기능에 사회적 기능이 부과되어 키치가 존재하므로, 키치를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우리나라에서 키치는, 처음에는 ‘이발소그림’과 동의어였다.

    허름한 이발소의 벽면을 차지한 싸구려 액자 속에는, 새끼들에게 젖을 물리는 어미 돼지나, 가을 추수가 끝난 전원풍경, 밥짓는 연기가 굴뚝으로 뿜어나오는 해질녘 시골집의 풍경과 같이, 평범한 사람들이 염원하는 행복의 이미지들이 들어 있었다.

    이발소그림과 같은 키치는,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정서나 내용을 담고 있는, 미적 수준에서는 한없이 저급한 그림들을 지칭한다. 그러나 이제 키치는, 단지 이발소그림과 같이 미적으로 저급하거나 조악한, 그러면서도 평범한 사람들의 삶에 가장 밀착된 특수한 장르화뿐 아니라, 자본주의 문화 일반, 나아가 삶의 방식과 태도를 가리키는, 대단히 포괄적인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그것이 마치 자본적 시장이 지니는 惡魔性처럼, 키치가 지니는 악마성이다. 심지어 키치는, 미학적인 퀄리티를 갖는 데 실패한 저급한 예술품이나 문화뿐만 아니라, 미학적으로 ‘우수한’ 특정 작품들의 어떤 경향성을 가리키는 개념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고급예술의 맥락 안에서, 이제 ‘키치的’이라는 의미는, 어떤 작품들의 성향이나 태도를 가리키는 미적 개념이다. 키치를 지향하는 작품들은, 팝아트 이후 고급예술 전반을 장악했다고 말해도 좋을 정도로 지배적인 경향이 된 것이다.

    -하략-
지원단말기

PC : Window 7 OS 이상

스마트기기 : IOS 8.0 이상, Android 4.1 이상
  (play store 또는 app store를 통해 이용 가능)

전용단말기 : B-815, B-612만 지원 됩니다.
★찜 하기를 선택하면 ‘찜 한 도서’ 목록만 추려서 볼 수 있습니다.